본문 바로가기

K-Shield Jr/웹 (Web)

Web

웹은 전 세계의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개념으로 다른 환경에서 정보를 공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동일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HTML이라는 공용어가 도입되었습니다.

1. 웹의 특징

웹은 인터넷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소리 등의 정보를 하이퍼텍스트로 연결하여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 하이퍼텍스트: 특정 참조(링크)를 통해 사용자가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텍스트입니다.
  • 웹 페이지는 HTML, CSS, JavaScript 등으로 구성되며, 문서 형태로 작성됩니다.

 

2. 웹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는 HTML, CSS, JavaScript로 작성된 웹 문서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

 

3. 웹의 동작 방식

웹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동작합니다.

  • 서버: 웹 페이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오면 HTML, CSS, JavaScript 등의 웹 문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는 전자기기입니다.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요청을 보냅니다

웹 사이트를 검색하거나 클릭하여 접속하는 과정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Response)하는 흐름으로 이루어집니다.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
  2.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해당 웹 페이지를 요청
  3. 서버는 요청을 확인한 후 HTML, CSS, JavaScript 등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전달
  4. 클라이언트는 받은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서 해석하여 화면에 출력

이 과정은 사용자가 웹을 탐색할 때마다 반복합니다

 

4. 정적 페이지 vs 동적 페이지

웹 페이지는 정적(Static) 페이지동적(Dynamic) 페이지로 나뉩니다.

  • 정적 페이지:
    • 서버에 저장된 파일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웹페이지
    •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콘텐츠를 보게 됨
    • 기업 소개 홈페이지처럼 변동이 거의 없는 웹사이트에 사용
  • 동적 페이지
    • 사용자의 설정, 정보 등에 따라 달라지는 웹페이지
    • 로그인 상태, 사용자 성향, 데이터 입력 등에 따라 다르게 출력
    • SNS, 유튜브, OTT 서비스 등이 대표적인 동적 웹페이지

 

5. 웹의 통신 과정

컴퓨터는 사람이 입력한 도메인 주소(ex: seculog .com)를 그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대신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합니다
사람이 숫자로 된 IP 주소를 직접 기억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DNS(Domain Name System)가 필요합니다.

  1. 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seculog .com을 입력합니다
  2. 클라이언트는 DNS 서버에 seculog.com의 IP 주소를 요청합니다.
  3. DNS 서버는 seculog .com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합니다
  4. 클라이언트는 받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하고, 웹 페이지를 요청합니다
  5. 서버는 요청을 확인한 후 응답을 보내고,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합니다

이렇게 웹은 클라이언트의 요청 → 서버의 응답을 반복하며 동작하는 시스템입니다.

'K-Shield Jr > 웹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상태 코드 및 특징  (0) 2025.02.11
HTTP  (0) 2025.02.10
도메인과 DNS  (0)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