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hield Jr/웹 (Web)

도메인과 DNS

인터넷에서 특정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컴퓨터의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숫자로 된 IP 주소를 직접 기억하고 입력하는 것은 어렵고 불편합니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 문자 기반의 주소 체계인 도메인이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도메인은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를 특정 문자열로 식별하는 역할을 하고 도메인을 숫자로 된 IP 주소와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 DNS입니다.

1. 도메인의 개념과 필요성

도메인이란?

  •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를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문자로 만든 주소
  • 도메인과 매칭된 IP 주소를 통해 원하는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

도메인이 필요한 이유

문제점 해결 방법
IP 주소(숫자)를 직접 기억하고 입력하기 어려움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자 주소 도입
여러 서버의 IP 주소가 유동적으로 변경될 가능성 있음 도메인을 이용해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적용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질수록 IP 관리가 복잡해짐 계층 구조를 활용한 체계적인 관리 가능

2. DNS(Domain Name System)란?

DNS는 문자로 된 도메인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입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브라우저는 도메인 주소를 기반으로 DNS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DNS 서버는 해당 도메인에 매칭된 IP 주소를 반환하여 올바른 서버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DNS의 동작 방식

  1. 사용자가 secuLog.com에 접속을 시도하면, 브라우저는 먼저 로컬 DNS 캐시에서 해당 도메인의 IP를 찾습니다.
  2. 캐시에 정보가 없으면 운영체제가 로컬 네트워크의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요청합니다.
  3. 로컬 DNS 서버에서도 찾지 못하면 계층 구조를 따라 상위 DNS 서버에 요청을 전달합니다.
  4. 최종적으로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찾으면 사용자에게 반환하고, 이후 빠른 응답을 위해 캐싱합니다.

3. DNS의 계층 구조

DNS는 계층적 트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최상위부터 차례대로 검색을 수행합니다.

DNS의 주요 계층

계층 설명 예시
루트 도메인 (Root) 최상위 도메인 관리 . (dot)
최상위 도메인 (TLD, Top-Level Domain) 국가별 또는 일반 도메인 구분 .com, .kr, .org
2차 도메인 (Second-Level Domain) 개별 기관, 기업, 단체 등의 이름 example.com, google.co.kr
서브 도메인 (Subdomain) 특정 서비스나 분류에 따라 추가 구분 mail.google.com, blog.example.com

도메인 이름 해석 과정

ex_) secuLog.kr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는 과정

  1. .(루트)에서 .kr(국가 최상위 도메인)로 이동
  2. .kr에서 secuLog 도메인을 찾아 IP 주소 확인
  3. 최종적으로 secuLog.kr의 IP 주소를 반환하여 접속

도메인과 DNS의 활용

웹사이트 운영

  • 도메인을 이용하면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일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됨

이메일 서비스

  • mail.example.com과 같은 서브 도메인을 활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 가능

네트워크 보안

  • DNS 필터링을 활용하여 악성 사이트 접근 차단 가능

'K-Shield Jr > 웹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상태 코드 및 특징  (0) 2025.02.11
HTTP  (0) 2025.02.10
Web  (1)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