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자료구조 C언어/자료구조 2025. 2. 19. 빅오 표기법 (Big-O notation) 빅오 표기법(Big-O Notation)은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나타내는 수학적 기법으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입력 크기(n)가 커질 때 알고리즘의 성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나타내고, 최악의 경우 시간 복잡도를 기준으로 표기O(1): 상수 시간 복잡도. 입력 크기와 상관없이 실행 시간이 일정O(n): 선형 시간 복잡도. 입력 크기(n)가 커질수록 실행 시간이 비례하여 증가O(n^2): 이차 시간 복잡도. 입력 크기(n)가 커질수록 실행 시간이 n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O(log n): 로그 시간 복잡도. 입력 크기(n)가 커져도 실행 시간은 상대적으로 적게 증가O(n log n): 로그 선형 시간 복잡도.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알고리즘에서 발생O(1)int ge.. 이전 1 다음